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세먼지가 무얼까요? 왜 생기죠? 왜? 해로운거죠?

건강한 세상

by 이루새 2018. 3. 26. 14:55

본문

728x90

* 미세먼지가 뭐예요?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합니다.

그런데, 입자크기에 따라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를 미세먼지로 구분합니다.

참고로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은 50~70㎛입니다. 

미세먼지는 석탄 ·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하죠.




미세먼지를 이루는 성분은 일반적으로는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와 석탄 ·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 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 흙먼지 등에서 생기는 광물 등으로 구성됩니다.




* 미세먼지가 왜 나빠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 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더불어,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PM10, PM2.5)를   세계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 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Group 1)로 지정하였습니다.

* 미세먼지는 왜 발생해요?

미세먼지 발생원은 자연적으로 바닷물에서 생기는 소금, 식물의 꽃가루 등에 있으며,

인위적 발생원은 보일러나 발전시설 등에서 석탄 ·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울 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날림먼지, 공장 내 분말형태의 원 자재, 부자재 취급공정에서의 가루성분, 소각장 연기 등에 기인합니다.




미세먼지는 1차적 발생원인으로 , 굴뚝 등 발생원에서부터 고체 상태의 미세먼지로 나오는 경우와




2차적 원인으로는, 가스 상태로 나온 물질이 공기 중의 다른 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미세먼지가 되는 경우 입니다. 

즉, 석탄 · 석유 등 화석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황산화물이 대기 중 의 수증기, 암모니아와 결합하거나,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 이 대기 중의 수증기, 오존, 암모니아 등과 결합하는 화학반응을 통해 미세먼 지가 생성되는 경우입니다. 

2차적 발생이 중요한 이유는 수도권만 하더라도 화학반응에 의한 2차 생성 비중이 전체 미세먼지 (PM2.5) 발생량의 약 3분의 2를 차지할 만큼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 집에서도 많이 발생한다죠?



조리/요리 중에도 미세먼지가 발생합니다.

미세먼지는 가정에서 가스레인지, 전기그 릴, 오븐 등을 사용하는 조리를 할 때도 많이 발생합니다. 

음식표면에서 15~40nm 크기의 초기입자가 생성되고,

재료 중의 수분, 기름 등과 응결하여 그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조리법에 따라서,

기름을 사용하는 굽기나 튀김요리는 재료를 삶는 요리보다 미세먼지를 많이 발생시키며, 평소 미세먼지 농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60배 높게 발생시킨다고 합니다.

요리법도 되도록 삶아먹는게 좋겠습니다.


어쩔 수 없는 미세먼지와 황사에 좋은 해독음식의 종류


작은 도음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럼, 공감 부탁드려요~~

 

728x90

관련글 더보기